본문 바로가기
최신정보

설날 차례상 준비와 전통적 주의사항

by 메타블루1226 2025. 1. 24.

오는 1월 25일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명절인 설날입니다. 설날은 새해를 맞아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가족의 화목을 다지는 소중한 날입니다.

 

차례상은 설날 의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음식을 차리는 방식에는 고유의 원칙과 배치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날 차례상을 차리는 법, 주의할 점, 지방 작성법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리는 방식은 지역과 집안의 전통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기본적인 원칙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신위를 모시는 방향과 상차림의 배열 순서를 정성스럽게 고려해 준비해야 합니다.

 

방향과 배열

차례 상을 배치할 때는 신위가 놓이는 쪽을 북쪽으로 두고,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남쪽에 앉는 방향으로 차립니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며, 병풍과 가까운 쪽부터 1열, 가장 먼 쪽이 5열입니다. 아래는 각 열에 배치되는 음식을 설명합니다.

 

[1열] 밥, 술, 국, 떡국

가장 앞줄인 1열에는 밥, 술잔, 국, 떡국 등이 놓입니다.

  •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둡니다.
  • 시접(수저 그릇)은 중앙에 배치하며, 떡국은 설날의 상징적인 음식으로 꼭 올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상황에 따라 국수나 편은 생략 가능합니다.

[2열] 고기와 생선: 어동육서, 동두서미

2열에는 고기와 생선류를 배치합니다.

  • 어동육서: 어류는 오른쪽(동쪽), 육류는 왼쪽(서쪽)에 둡니다.
  • 동두서미: 생선은 머리를 동쪽, 꼬리를 서쪽으로 놓아야 합니다.
  • 전, 적 등의 음식도 함께 배치하며, 상의 균형을 고려해 담아야 합니다.

[3열] 탕류

3열은 탕류로 구성되며, 육탕(고기탕), 어탕(생선탕), 소탕(두부탕) 등으로 준비합니다.

  • 고기탕은 서쪽, 생선탕은 동쪽에 놓아 어동육서의 원칙을 따릅니다.
  • 양쪽 끝에는 촛대를 배치해 상차림의 의식을 더합니다.

[4열] 나물과 후식류

4열에는 삼색 나물, 포, 침채(물김치), 식혜 등이 배치됩니다.

  • 삼색 나물은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생선포는 서쪽, 식혜는 동쪽에 놓습니다.

[5열] 과일: 조율이시, 홍동백서

5열에는 과일과 후식을 배치하며,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 원칙에 따라 차립니다.

  •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나열합니다.
  •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둡니다.
  • 한과, 약과 등의 전통 간식도 함께 준비합니다.

차릴 때 주의할 점

설날 차례 상은 음식의 종류와 배치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금기사항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아래는 준비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1. 이름에 '치'가 들어간 생선은 제외

삼치, 꽁치, 갈치 등 이름 끝에 '치'가 들어가는 생선은 전통적으로 차례 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흔하다는 의미로, 조상님께 올리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에서입니다.

2. 털이 있는 과일 금지

복숭아처럼 껍질에 털이 있는 과일은 올리지 않습니다. 예로부터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 과일로 여겨 차례상에서는 제외해왔습니다.

3. 강한 향신료 사용 금지

고춧가루나 마늘 같은 향신료는 귀신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다고 믿어, 조상님께 드리는 차례 음식에는 넣지 않습니다.

4. 음식은 홀수로 준비

음식의 개수는 홀수로 맞추는 것이 전통입니다. 짝수는 양(양의 기운)을 의미하고 홀수는 음(음의 기운)을 의미하기 때문에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은 홀수로 준비합니다.

5. 떡은 흰 고물을 사용

제사에는 붉은 팥 시루떡을 사용하지만, 차례상에는 흰 고물 떡을 올립니다. 흰색은 깨끗함과 순수함을 상징하기 때문에 설 차례상에서 선호됩니다.

 


설날 지방 쓰는 법

차례를 지낼 때 지방을 작성하는 것도 중요한 절차입니다. 지방은 한지에 먹으로 작성하며,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예를 갖춥니다.

지방 작성 예시

  • 조부모님을 위한 지방: 현고학생부군신위
  • 부모님을 위한 지방: 현고학생모신위

각 가정의 전통에 따라 약간씩 표현이 다를 수 있으니 가족 어른들께 확인 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날 차례상 의미

조상을 기리고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소중한 의식을 상징합니다. 정성과 예를 다해 차려진 차례상은 조상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고 있으며, 세대 간 전통을 이어가는 매개체가 됩니다. 가족이 함께 준비하며 따뜻한 정을 나누는 설날 보내시길 바랍니다.

 

설날 차례상 FAQ

Q. 설날 차례상에 꼭 포함해야 할 음식은?

A. 설날 차례상에는 밥, 국, 떡국, 나물, 전, 과일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됩니다. 또한, 각 가정의 전통에 따라 추가적으로 음식을 준비할 수도 있습니다.

Q.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은?

A. 전통적으로 삼치, 갈치, 꽁치 등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차례상에서 제외하며, 복숭아와 같은 털 있는 과일도 올리지 않습니다. 또한, 고춧가루나 마늘이 들어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 과일은 어떻게 배치하나요?

A. 과일은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배치하며,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이는 음양의 조화를 고려한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Q. 지방은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A. 지방은 한지에 먹으로 작성하며, 조부모님은 "현고학생부군신위", 부모님은 "현고학생모신위"로 작성합니다. 글씨는 정갈하게 쓰고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날차례상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