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정보

갑근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 계산 방법

by 메타블루1226 2025. 3. 8.

급여를 받을 때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이 세금입니다. 특히 갑근세(근로소득세)와 일용직 소득세 계산 방법을 알면 급여에서 얼마나 공제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세금 계산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 개념만 이해하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근세와 일용직 소득세 계산 방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 연봉계산기 바로가기!!


갑근세(근로소득세)란?

갑근세는 정규직 근로자가 급여에서 원천징수되는 소득세입니다. 매월 급여에서 공제되며, 연말정산을 통해 조정됩니다. 세율은 누진 구조로,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과 근로소득공제

과세표준은 총 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소득이 많을수록 공제율이 낮아집니다.

연봉(총급여) 근로소득공제 과세표준 계산 방법
500만 원 이하 70% 총급여 × 30%
1,500만 원 이하 40% + 300만 원 총급여 × 60% - 300만 원
4,500만 원 이하 15% + 1,200만 원 총급여 × 85% - 1,200만 원
1억 원 이하 5% + 3,750만 원 총급여 × 95% - 3,750만 원
1억 원 초과 2% + 6,150만 원 총급여 × 98% - 6,150만 원

근로소득세율 적용

과세표준이 계산되면 아래의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계산합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 원 이하 6% 0
5,000만 원 이하 15% 126만 원
8,800만 원 이하 24% 576만 원
1억 5천만 원 이하 35% 1,494만 원
3억 원 이하 38% 2,654만 원
5억 원 이하 40% 3,654만 원
5억 원 초과 45% 6,654만 원

💡 예시
연봉 5천만 원 근로자의 근로소득세 계산

  • 과세표준 = (5,000만 원 × 85%) - 1,200만 원 = 3,050만 원
  • 소득세 = (3,050만 원 × 15%) - 126만 원 = 336.5만 원
  •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 = 33.65만 원
  • 총 세금 = 370.15만 원

일용직 소득세 계산 방법

일용직 근로자는 근로계약이 정규직과 달라, 세금도 단순하게 부과됩니다. 원칙적으로 하루 일당 기준 5% 소득세0.5% 지방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일용직 소득세율 적용

  • 소득세: 일당의 5%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즉, 0.5%)
  • 4대 보험료 별도 적용

💡 예시
하루 15만 원 받는 일용직 근로자의 세금 계산

  • 소득세: 15만 원 × 5% = 7,500원
  • 지방소득세: 7,500원 × 10% = 750원
  • 총 세금: 8,250원
  • 실수령액: 141,750원

일용직 근로자는 연말정산을 하지 않아도 됨!


정규직 vs. 일용직 소득세 비교

구분 정규직(갑근세) 일용직 소득세
과세 방식 누진세율 (6~45%) 5% 단일세율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소득세의 10%
연말정산 필수 불필요
4대 보험 의무 가입 선택 가입 가능

📌 일용직은 세금이 단순하지만, 4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음


결론

갑근세(근로소득세)와 일용직 소득세는 소득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

  • 정규직(갑근세): 연봉 기준 누진세율(6%~45%) 적용
  • 일용직 소득세: 하루 급여의 5% + 지방세 0.5%
  • 정규직은 연말정산 필수, 일용직은 연말정산 불필요

자신의 급여와 상황에 맞춰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갑근세 및 일용직 소득세 FAQ

Q. 갑근세와 일용직 소득세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갑근세는 정규직 근로자가 급여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으로,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반면, 일용직 소득세는 하루 급여 기준 5% 단일세율이 적용되며 연말정산이 필요 없습니다.

Q. 일용직도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A. 4대 보험 가입이 필수가 아니지만, 일정 근무일수를 초과하면 가입해야 합니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가입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연봉이 낮으면 세금을 안 내도 되나요?

A. 연봉이 1,400만 원 이하라면 6% 세율이 적용되며, 근로소득공제와 각종 공제를 적용하면 납부할 세금이 거의 없거나 환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갑근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